본문 바로가기

도서

부의 추월차선 - 부자가 되려면 '이 길'로 가야 한다

부의 추월차선을 읽는데, 왜 계속 VOO ETF가 떠오르는건 ... 뭐 때문일까?

 

 

“부자가 되고 싶다고? 그렇다면 네가 가고 있는 길부터 살펴봐라.”

 

살면서 이런 고민 한 번쯤 해봤을 거다.
"어떻게 하면 돈 걱정 없이 살 수 있을까?"
"부자는 대체 무슨 생각으로 사는 거야?"

 

그리고 누군가는 이렇게 답한다.

 

"열심히 공부해서 좋은 대학 가고, 좋은 직장 들어가면 된다!"
"소득의 10%는 저축하고, 남은 돈으로 투자하면 된다!"

 

그런데 진짜 그게 정답일까?

MJ 드마코의 『부의 추월차선』은 이 모든 걸 뒤집는다.
책을 덮고 나면 머릿속이 이렇게 정리될 거다.


"아… 이래서 내가 부자가 못 되는 거였구나."

 

1. 우리는 왜 부자가 되지 못할까?

드마코는 부자가 되는 방법을 세 가지로 나눈다.

  1. 인도(Sidewalk) – 돈을 벌면 쓰고, 저축도 안 하고, 내일이 없는 삶
  2. 서행차선(Slow Lane) – 좋은 직장, 착실한 저축, 장기 투자
  3. 추월차선(Fast Lane) – 사업, 시스템, 레버리지를 이용해 빠르게 부를 창출하는 길

 

책에서는 "서행차선"이 가장 흔한 길이라고 말한다.
열심히 공부해서 좋은 직장에 가고, 돈을 모아 투자하면 은퇴할 때 부자가 된다…
그런데 그때쯤이면 나이 60~70이 아닌가?

 

"인생은 길다. 하지만 그걸로 안심하지 마라.
돈이 없으면 그 긴 인생이 지옥이 된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
추월차선으로 갈아타야 한다.


2. 부자가 되는 사람들은 이렇게 돈을 번다

책에서는 돈을 버는 5가지 핵심 원칙(NECST)을 설명한다.
이걸 보면 "아… 내가 잘못된 길을 가고 있었구나" 싶어진다.

 

  • N(Need, 필요성) – 사람들이 정말 필요로 하는 걸 제공하라.
  • E(Entry, 진입 장벽) –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일이라면 경쟁이 너무 많다.
  • C(Control, 통제권) – 플랫폼이나 타인의 손에 돈줄을 맡기지 마라. (예: 유튜브만 의존하면 위험!)
  • S(Scale, 확장성) – 1,000명이 아니라, 100만 명이 내 제품을 살 수 있어야 한다.
  • T(Time, 시간 레버리지) – 내가 일하지 않아도 돈이 들어오는 시스템을 만들어라.

 

이 중에서 가장 충격적이었던 건 이거였다.

"프리랜서는 서행차선이다. 일을 멈추면 수익도 멈춘다."

 

뭐? 프리랜서면 자유로운 부자인 줄 알았는데?
하지만 가만 보면 맞는 말이다.
프리랜서는 "시간을 팔아서" 돈을 번다.
일을 멈추는 순간, 수입도 0원이 된다.

진짜 부자는? "일하지 않아도" 돈이 들어오는 시스템을 만들어 놓은 사람들이다.


3. 부의 방정식 = 가치 × 범위 × 영향력

책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문장 중 하나가 있다.

 

"돈을 좇지 마라. 가치를 창출하라.
돈은 사람들이 원하는 가치를 제공하면 자연스럽게 따라온다."

 

예를 들어보자.

  • "내가 어떻게 하면 돈을 많이 벌 수 있을까?" (틀린 질문)
  • "내가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에게 가치를 제공할 수 있을까?" (정답)

이게 바로 부의 방정식이다.

부 = 가치 × 범위 × 영향력

  • 가치(Value) – 사람들이 정말 필요로 하는 것인가?
  • 범위(Scale) – 얼마나 많은 사람에게 제공할 수 있는가?
  • 영향력(Impact) – 내 사업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큰가?

1,000명을 만족시키는 것보다, 1,000,000명을 만족시키는 것이 훨씬 빠르게 부를 만든다.

 

이걸 보고 딱 든 생각은


"아… 그러니까 대기업 CEO들은 회사 하나로 연봉 몇백억씩 받는 거구나."


4. 현실적으로 내가 할 수 있는 것들

여기까지 읽었다면 한 가지 깨닫게 된다.
"좋은 직장 다니면서 돈 모아서 투자하는 걸로는 빠르게 부자가 될 수 없겠구나."

 

그럼 대체 뭘 해야 할까?
책에서 제시하는 핵심 전략을 정리해보면

 

  1. 사업을 시작하라.
    • "내가 돈을 벌려면, 다른 사람들에게 어떤 가치를 제공할 수 있을까?"
    • 돈이 아니라 "문제 해결"을 중심으로 생각하라.
  2. 확장 가능한 모델을 찾아라.
    • 동네 치킨집 vs. 전국 프랜차이즈 – 뭐가 더 큰 돈을 벌까?
    • "나 혼자 일해야 하는가? 아니면 시스템이 돈을 벌어주는가?"
  3. 수익이 자동으로 들어오는 구조를 만들어라.
    • 온라인 비즈니스, 디지털 제품, 플랫폼, 콘텐츠 비즈니스.
    • 내가 일하지 않아도 돈이 들어오도록 설계하라.
  4. 돈이 아니라 가치를 좇아라.
    • 돈을 벌고 싶으면, 더 많은 사람들에게 가치를 제공해야 한다.

5. 결론 – 인생의 '차선'을 바꿔라

마지막으로 책에서 강하게 남았던 문장을 공유하고 싶다.

 

"부자가 되고 싶다면, 남들과 같은 길을 가면 안 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서행차선을 달린다.
하지만 진짜 부자가 되는 사람들은 추월차선으로 갈아탄다.

 

당장 해야 할 것:

  • "시간을 팔지 않는 방법"을 고민하라.
  • "내가 직접 일하지 않아도 돈이 들어오는 시스템"을 만들어라.
  • "더 많은 사람들에게 더 큰 가치를 제공하는 방법"을 찾아라.

부자가 되고 싶다면, 도로부터 바꿔라.

 


그건 그렇고, "알겠어. 그런데 뭘 어떻게 하라는 거야?"

현실적으로, 지금 당장 무엇을 해야 할까?

책을 읽고 나면 누구나 이런 생각이 들 거다.

드마코가 말하는 추월차선이란 "사업을 하라"는 말로 끝나는 게 아니다.
그보다 중요한 건 "부를 만드는 사고방식"을 바꾸게 하라는 의미로 해석한다.

 

1. 시간을 팔지 않는 방법을 찾아라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시간과 노동력을 돈으로 바꾼다.
하지만 추월차선을 타려면, 내가 직접 일하지 않아도 돈이 벌리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 직장에만 의존하지 말 것
  • "자동으로 돌아가는 수익 모델"을 고민할 것
  • 내가 없어도 운영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할 것 

쫄보라 사업할 엄두는 못내겠고, 그저 배당... 흠...

 

2. 돈이 아니라 문제를 좇아라

부자는 "돈을 벌려면 어떻게 해야 하지?"라고 고민하지 않는다.
대신 "어떤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를 고민한다.

 

  • 사람들이 불편해하는 문제를 찾아라
  • 그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고민하라
  • 해결책을 더 많은 사람에게 제공할 방법을 찾아라

 

3. 경제적 자유를 얻기 위한 나만의 전략을 세워라

책에서 강조하는 건 모든 사람이 같은 길을 갈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중요한 건 어떤 방식으로든 돈이 자동으로 들어오는 시스템을 만들 수 있느냐는 점이다.

 

  • 온라인 비즈니스, 콘텐츠, 플랫폼을 활용하는 방법
  • 주식, 부동산 같은 자산을 활용하는 방법
  • 나만의 독창적인 모델을 만드는 방법

 

반드시 창업을 해야 한다는 건 아니다.
하지만 지금처럼 월급만으로는 절대 경제적 자유를 얻을 수 없다는 건 확실하다.

 


마지막으로, 남들과 같은 길을 가지 마라

책을 덮고 난 뒤 가장 크게 남는 메시지는 이거였다.

 

"부자가 되고 싶다면, 남들과 같은 길을 가면 안 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서행차선"을 선택한다.
하지만 진짜 부자가 되는 사람들은 자신만의 추월차선을 만든다.

 

지금부터 고민해보자.
"나는 어떤 길을 가고 있는가?"
"나는 지금도 시간과 돈을 맞바꾸고 있는가?"
"지금 내가 하는 일이 5년, 10년 후에도 경제적 자유를 가져다줄 수 있을까?"

 

만약 이 질문에 선뜻 "그렇다"라고 대답할 수 없다면,
지금이 바로 방향을 바꿀 때다.

 

부자가 되고 싶다면, 도로부터 바꿔라.
그리고 그 도로에서 가속 페달을 밟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