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주식

하루라도 빨리 배당 투자를 시작해야 하는 이유

guns84 2025. 3. 14. 11:32

 

많은 사람들이 SCHD 같은 배당 ETF는 한번씩 들어봤을것이다.

배당투자가 좋은 투자라고는 알고 있지만 시작을 망설이고 있다.

 

이 글에서는 왜 하루라도 빨리 배당 투자를 시작해야 하는지 그 이유를 초보자의 관점에서 알기 쉽게 설명해본다.


1. 배당 투자의 본질은 시간이다

배당 투자는 시간이 길수록 더 큰 효과를 내는 투자 방식이다. 하루라도 빨리 시작하면 복리 효과가 더 빨리 나타난다.

복리 효과로 자산 증식
받은 배당을 재투자하면 투자 원금과 배당금이 함께 불어나 빠르게 자산이 커진다.

배당 성장으로 안정적 현금 흐름 확보
배당 성장 ETF나 개별 배당주는 시간이 지날수록 배당금을 높여준다. 일찍 시작할수록 더 오랜 시간 동안 높은 배당금을 받을 수 있다.

변동성이 낮아 안정적
배당이 지속적으로 지급되면 주가 변동이 심할 때도 심리적 안정감을 준다. 배당금 자체가 투자금을 지켜주는 역할을 한다.


2. 다양한 배당 투자 선택지가 있다

배당 투자는 SCHD 하나만이 아니다. 다양한 ETF와 개별 배당주가 존재한다.

 

월배당, 분기배당, 반기배당, 주배당까지


최근에는 매월 배당을 주는 월배당 ETF(JEPI, JEPQ, XYLD, O 등)부터 심지어 매주 배당을 지급하는 ETF까지 등장하고 있다. 투자자의 현금 흐름 요구에 맞게 선택할 수 있다.

 

주요 배당 ETF의 배당률

  • JEPI: 월배당 ETF, 배당률 (약 7~11%)
  • JEPQ: 나스닥 기반 월배당 ETF, 배당률 (약 10%)
  • XYLD, QYLD: 고배당 커버드콜 ETF, 배당률 (약 10~12%)
  • 리얼티 인컴(O): 부동산 월배당 ETF, 배당률 (약 4~5%)
  • 초고배당은 변동성이나 안정성으로 제외 (cony, nvdy, tsly, bito ... 는 최저점에서 산다면 모를까, 원금을 녹여버림)

 

대표적인 개별 배당주

  • 코카콜라(KO), 펩시(PEP): 소비재, 배당률 (약 3%)
  • 존슨앤드존슨(JNJ), P&G(PG): 헬스케어, 배당률 (약 2.5~3%)
  • 맥도날드(MCD), 월마트(WMT): 방어적 성향 배당주, 배당률 (약 2%)

3. 예금, 적금보다 배당 투자가 나은 이유

은행 예금과 적금은 안전하지만 수익률 면에서는 한계가 명확하다.

 

은행 이자율 vs 배당 성장률
은행 이자는 보통 연 3~4%로 고정되지만,

배당주는 매년 배당이 오르면서 장기적으로 더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

 

배당금 증가의 가능성
배당 ETF나 개별 배당주는 꾸준히 배당금을 늘리지만, 예금과 적금의 이자율은 고정되어 있다.

 

복리 효과의 극대화
은행 이자는 단리로 고정되지만, 배당 투자는 재투자 시 복리 효과로 이익이 더욱 가속화된다.


4. 하루라도 빨리 시작해야 하는 이유 (시뮬레이션 예시)

초기 투자금 10,000달러, (약 1,300만 원, 배당은 장기간 투자이기에 현 환율보단 일반적인 환율로 계산함)와 매월 50만 원씩 추가 투자할 경우 연간 600만원 투자,

연 10% 배당률로 20년 투자했을 때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JEPQ 종목으로 배당율 10% 기준으로 계산함)

 

누적 금액 (배당금 재투자 없이)

누적 금액 (배당금 재투자)

연간 예상 배당금 (재투자 기준, 원화)

 

년차 누적금액 (배당재투자x, 매달 50만원씩만 투자) 누적금액 (배당재투자o, 매달 50만원씩 투자) 연간 예상 배당금
 1년차      19,000,000                               20,644,054     1,644,054
 2년차      25,000,000                               29,088,540     2,444,486
 3년차      31,000,000                               38,417,274     3,328,734
 4년차      37,000,000                               48,722,849     4,305,575
 5년차      43,000,000                               60,107,552     5,384,703
 6년차      49,000,000                               72,684,382     6,576,830
 7년차      55,000,000                               86,578,171     7,893,789
 8년차      61,000,000                              101,926,821     9,348,650
 9년차      67,000,000                              118,882,675    10,955,854
 10년차      73,000,000                              137,614,029    12,731,354
 11년차      79,000,000                              158,306,800    14,692,771
 12년차      85,000,000                              181,166,375    16,859,575
 13년차      91,000,000                              206,419,645    19,253,271
 14년차      97,000,000                              234,317,264    21,897,618
 15년차     103,000,000                              265,136,127    24,818,863
 16년차     109,000,000                              299,182,128    28,046,001
 17년차     115,000,000                              336,793,191    31,611,062
 18년차     121,000,000                              378,342,623    35,549,432
 19년차     127,000,000                              424,242,824    39,900,201
 20년차     133,000,000                              474,949,375    44,706,551

 

왜 6~8년 차부터 배당금이 급격히 증가해보일까?

  1. 복리 효과의 본격화
    처음 몇 년 동안은 배당금이 작아서 그 효과가 크게 안 느껴지지만 시간이 지나며 받은 배당을 다시 투자하는 복리 효과가 본격적으로 작동하기 시작하는 게 6~8년 차 이후
  2. 초기 투자금(씨앗)의 중요성
    초기 투자금이 충분히 크면 배당 재투자 효과가 더 빨리 나타나고, 기하급수적으로 자산이 불어나게 된다. 이번 시뮬레이션에서도 초기 투자금(10,000달러)에 매월 50만 원씩 추가한 효과가 쌓이며 급격히 배당금이 증가함
  3. 배당률이 높을수록 복리 속도 가속화
    JEPQ 같은 연 10%의 고배당 ETF는 배당금이 많아서 초반부터 빠르게 불어난다.

 

이 표에서 보다시피 약 10년 차부터 배당금 재투자 여부에 따라 큰 차이가 벌어진다.

그 이유는 연 배당률이 10%이면 약 10년 후 배당금만으로 원금이 회복되기 때문이다.

 


결론: 하루라도 빨리 배당 투자를 시작하라

처음엔 작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 눈덩이처럼 불어난다.

추가 납입 없이 배당금만 받아 생활이 가능한 시점이 오면, 이 배당금이 사실상 내가 받던 월급을 대신하게 된다.

그래서 배당 투자를 매달 50만원 추가 납입할 때까지 몇년간 진행될테고, 추가 납입이 멈추는 순간(근로소득이 멈추는 순간 = 즉 은퇴) 이 내가 받는 연차의 배당금의 종착지? 가 될 예정이니 하루라도 먼저 시작하는게 좋다고 생각한다.

배당 투자는 주가가 오르거나 떨어질 때마다 일희일비하지 않고, 한 번 투자한 돈은 웬만하면 빼지 않는다는 마음으로 접근해야 한다. -> 나의 미래를 위해 투자

 

그래서 하루라도 빨리 시작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